Git bash에서 아래 명령어 실행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(본인 이름)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(본인 이메일)"
아래 명령어들로 확인한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
기본 브랜치명 변경
git config --global init.defaultBranch main
2) 프로젝트 생선 & Git관리 시작
내가 원하는 곳에 폴더를 생성한다.
그걸 vscode로 연다
그리고 git이 관리하라고 명령어를 내린다
git init
숨김파일 볼수 있게 설정하면 .git 폴더가 생성된걸 볼 수 있다.
이 폴더를 지우면 git 관리내역이 삭제된다. (현파일들은 유지)
위 파일들을 생성 후 저장한다.
그 후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.
git status
현재 폴더의 상황을 git의 관점으로 보여준다.
3) 소스트리로 해보기
소스트리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소스트리에도 폴더를 입력해준다.
파일이 올라간 것을 확인할수 있다.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/Github] 변화를 버전에 담기 (0) | 2023.02.19 |
---|---|
[Git/Github] Git에게 맡기지 않을 것들 (0) | 2023.02.19 |
[Git/Github] 시작하기 (CLI vs GUI) (0) | 2023.02.19 |
[Git/Github] 시작하기 (설치와 세팅 - 윈도우) (0) | 2023.02.19 |
[HTML/CSS] favicon(파비콘, favorite icon) (0) | 2023.02.15 |